스마트폰을 이용한 상황인식 기술

2020. 12. 9. 14:39Etc

반응형

최근 유비쿼터스 시대의 디지털 컨버젼스 대표 기기로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에 GPS, Digital Compass, 컴퓨터의 기능을 포함하고 장소의 제한 없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이러한 특성을 부각한 게임, 지도, 사진, SNS, 교육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존의 휴대폰이 통신 및 멀티미디어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했다면, 스마트폰은 GPS를 이용한 위치인식 기술과 전자 나침반을 이용한 방향 인식 기술,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무선통신기술이 융·복합되어 공간정보를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상황인식 서비스를 부가해 우리 일상생활은 물론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인식 서비스는 위치기반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분류되며, 스마트폰의 GPS 및 전자 나침반 기술의 정확도에 따라 상황인식 서비스 품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상황인식 서비스를 이용할 때 가장 중요한 단초가 될 수 있는 GPS, 전자 나침반, 무선통신, 공간정보를 실험과 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습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 및 방향 결정 정확도 실험 결과 실외에 비하여 낮은 실내 위치 및 방향 정확도와 플랫폼으로 활용되는 공간정보가 갖고 있는 오차에 의해 상황인식 서비스 이용 시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내 위치 결정 정확도 향상 방안으로 Wi-Fi를 이용한 측위 방법 등이 있으나 실외에서 사용하는 GPS에 비해 많은 보완 사항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황인식 서비스의 플랫폼으로 활용되는 공간정보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DSM을 이용해 폐색 영역을 보정한 실감 정사영상의 제작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상황인식 서비스 개선방향 도출을 위해 상황인식 서비스의 유형 분석과 스마트폰의 위치 및 방향 정확도 실험 및 무선통신, 공간정보의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첫째, 현재 상용화된 상황인식 서비스의 유형 분석 결과 소셜 네트워크서 비스는 사용자의 인맥 정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었으며, 위치기반 서비스는 스마트폰을 통해 검색한 위치 및 방향 정확도와 플랫폼으로 활용되는 공간정보 품질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둘째, 스마트폰의 위치 및 방향 결정 정확도 실험 결과 GPS를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실외 지역에 비하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실내 지역의 정확도가 현저히 낮아 위치 정확도는 측위 방식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전자 나침반 또한 지구자기장 간섭 요인이 많은 실내에서 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셋째, 상황인식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공간정보는 여러 축척의 수치지도를 조합하여 제작되는 벡터 지도의 경우 각 축척에 해당하는 오차를 갖고 있으며, 일반 정사영상으로 제작된 래스터 지도의 경우 폐색 영역의 발생으로 정확한 공간정보 생성이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고, 정확도가 낮은 위치 및 방향 정보와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상황인식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받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넷째, 실내 위치 결정 정확도 향상 방안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인 Wi-Fi를 이용한 측위 방식이 있으며, 실험 결과 이동통신사의 무선통신을 이용했을 때 보다 나은 정확도를 보였으나 GPS수준의 정확도는 기대하기 어려워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다섯째, 일반 정사영상으로 제작되어 폐색 영역이 발생하는 공간정보는 정밀 DSM을 이용하여 폐색 영역을 보정한 실감 정사영상의 제작을 통해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반응형